은퇴 후 한국으로 돌아오는 재외교민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과거에는 해외 정착 후 생을 마무리하는 이들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노후를 한국에서 보내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들의 귀국 결정에는 다양한 이유가 작용하지만, 특히 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주요 이민국의 의료 시스템은 접근성이 낮고 대기 시간이 길어 고령자에게 불편한 경우가 많다. 응급 상황 시 병원 예약이 어렵거나, 정기적인 검진조차 몇 달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에 비해 한국은 의료 인프라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돼 있고, 병·의원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장점이 부각된다.
한국 건강보험 제도 역시 귀국 교민에게 매력적인 요소다.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재가입이 가능하며, 이후 의료비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특히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 교민의 경우, 안정적인 진료 체계와 저렴한 본인부담금이 치료 지속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한국의 건강검진 프로그램은 귀국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해외에서는 건강검진 항목이 제한적이거나 비용이 비싸 정기 검진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한국에서는 하루 만에 여러 검사를 빠르게 받을 수 있으며, 비용도 합리적이다. 특히 내시경, 초음파, CT 등 정밀 검사가 비교적 손쉽게 이뤄진다는 점은 해외 교민에게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치과나 한방 진료에 대한 선호도 높다. 미국 등에서 치과 치료는 수백만 원의 비용이 드는 데 반해, 한국에서는 건강보험 적용 또는 실비 보험을 통해 훨씬 저렴하게 치료받을 수 있다. 일부 교민은 틀니, 임플란트 등 노년기에 필요한 치과 치료를 위해 귀국을 결심하기도 한다. 한방 진료 역시 통증 관리, 면역력 증강 등의 목적에서 인기가 있다.
귀국 후 건강을 목적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은 만큼, 국내 의료기관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서울 강남의 한 병원 관계자는 “귀국 교민 대부분이 건강검진이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내원하며, 생활 환경 변화에 맞춘 맞춤형 진료에 대한 요구가 크다”고 설명했다.
한국으로의 귀국을 고려하는 재외동포는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 속에서 의료 접근성과 비용 효율성이 좋은 국가로 돌아가려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의료 환경은 정서적 안정뿐 아니라 실질적인 건강 관리에도 강점을 보이고 있어, 은퇴 후 정착지로서의 매력을 더욱 키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