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vs. 미국, 암 환자 생존율 비교… 위암·간암 한국이 앞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암 환자 5년 생존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위암과 간암의 경우 한국이 미국보다 월등히 높은 생존율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전립선암은 미국이 다소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Cancer TypeKorea (2015-2019)United States (2015-2019)
모든암70.7%68.0%
유방암93.6%90.0%
대장암74.3%65.1%
폐암34.7%22.0%
간암38.3%20.3%
위암77.8%33.3%
췌장암14.6%11.5%
절립선암93.9%96.8%
갑상선암100.0%98.3%

암 생존율 비교: 한국이 더 높은 암종

국립암센터와 미국 국립암연구소(SEER)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전체 암 생존율은 한국이 70.7%, 미국이 68.0%로 한국이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별로는 특히 위암(77.8% vs. 33.3%)과 간암(38.3% vs. 20.3%)에서 한국이 큰 격차로 앞서고 있다.
이는 한국이 위암과 간암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이 발달한 덕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와 간암 고 위험군에 대한 집중 관리를 시행하고 있어 조기 발견율이 높아 생존율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이 앞서는 암종은?

반면, 전립선암의 5년 생존율은 미국이 96.8%로 한국(93.9%)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이 전립선암 조기 검진 및 치료법에서 선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유방암(한국 93.6% vs. 미국 90.0%), 대장암(한국 74.3% vs. 미국 65.1%) 등에서는 한국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췌장암 생존율은 여전히 낮아

전 세계적으로 폐암과 췌장암의 생존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만, 폐암 생존율은 한국이 34.7%로 미국(22.0%)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의 적극적인 폐암 검진 프로그램과 치료 접근성 덕분으로 분석된다. 반면, 췌장암 생존율은 한국(14.6%)과 미국(11.5%) 모두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망: 암 조기 검진이 생존율 차이 결정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의 조기 검진 및 치료 시스템이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국가암검진사업을 통해 위암·간암 등 주요 암종의 조기 발견율을 높였고, 이는 생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반면, 미국은 전립선암, 유방암 등에서 선진적인 치료법을 제공하면서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자료

  1. 국립암센터 보고서 (2024)
  2. 미국 국립암연구소 SEER 데이터

박 영 기자 / 미주중앙일보 코리아헬스트립닷컴

“치료와 관광, 피부까지”…한국의료, 통합 헬스케어의 글로벌 모델로 도약

외국인도 당일 진료 가능, 미용·중증 치료 아우르는 세계 수준의 의료 시스템 관광, 미용, 치료를 하나로 연결한 **‘K-메디컬 통합 서비스’**가 세계 의료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한국은 이미 의료...

[건강 칼럼] 수술실 숨은 영웅, 마취과 의사 이야기

“잠깐, 환자분 혈압 확인할게요!” 수술실에 긴장감이 감돈다. 외과의사는 집중하며 메스를 움직이고, 간호사는 기구를 정확히 전달한다. 그런데 환자의 머리맡에서 가장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이 있다. 바로 마취과...

임플란트 수술, 부드러운 음식·균형 잡힌 식단 중요

수술 후 2주 회복관리가 핵심의료진 지시 따르며 관리해야수면 임플란트 통증·공포 줄여 “오늘만 지나면 그동안 못 먹었던 한을 풀겠다!”오랜 시간 불편한 치아로 인해 식사 때마다 좌절감을...

고난도 중재시술, 미국보다 한국이 우위? 비용·속도·숙련도로 의료관광지 부상

고난도의 기술과 고정밀 장비를 요구하는 중재시술(인터벤션 시술) 분야에서 한국 의료의 경쟁력이 부각되고 있다. 중재시술은 절개 없이 영상 장비 유도하에 시행되는 최소침습 치료로, 주로 심혈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