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vs. 미국, 암 환자 생존율 비교… 위암·간암 한국이 앞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암 환자 5년 생존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위암과 간암의 경우 한국이 미국보다 월등히 높은 생존율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전립선암은 미국이 다소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Cancer TypeKorea (2015-2019)United States (2015-2019)
모든암70.7%68.0%
유방암93.6%90.0%
대장암74.3%65.1%
폐암34.7%22.0%
간암38.3%20.3%
위암77.8%33.3%
췌장암14.6%11.5%
절립선암93.9%96.8%
갑상선암100.0%98.3%

암 생존율 비교: 한국이 더 높은 암종

국립암센터와 미국 국립암연구소(SEER)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전체 암 생존율은 한국이 70.7%, 미국이 68.0%로 한국이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종별로는 특히 위암(77.8% vs. 33.3%)과 간암(38.3% vs. 20.3%)에서 한국이 큰 격차로 앞서고 있다.
이는 한국이 위암과 간암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이 발달한 덕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와 간암 고 위험군에 대한 집중 관리를 시행하고 있어 조기 발견율이 높아 생존율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이 앞서는 암종은?

반면, 전립선암의 5년 생존율은 미국이 96.8%로 한국(93.9%)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이 전립선암 조기 검진 및 치료법에서 선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유방암(한국 93.6% vs. 미국 90.0%), 대장암(한국 74.3% vs. 미국 65.1%) 등에서는 한국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췌장암 생존율은 여전히 낮아

전 세계적으로 폐암과 췌장암의 생존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만, 폐암 생존율은 한국이 34.7%로 미국(22.0%)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의 적극적인 폐암 검진 프로그램과 치료 접근성 덕분으로 분석된다. 반면, 췌장암 생존율은 한국(14.6%)과 미국(11.5%) 모두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망: 암 조기 검진이 생존율 차이 결정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의 조기 검진 및 치료 시스템이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국가암검진사업을 통해 위암·간암 등 주요 암종의 조기 발견율을 높였고, 이는 생존율 상승으로 이어졌다.
반면, 미국은 전립선암, 유방암 등에서 선진적인 치료법을 제공하면서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고 있다.

참고자료

  1. 국립암센터 보고서 (2024)
  2. 미국 국립암연구소 SEER 데이터

박 영 기자 / 미주중앙일보 코리아헬스트립닷컴

줄기세포 치료, 일본은 ‘시장화’… 한국은 ‘안전관리형’

줄기세포 치료, 일본은 '시장화'… 한국은 '안전관리형' 재생의료 제도·가격·지원체계 비교, 접근성 격차 여전 노화와 퇴행성 질환,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는 줄기세포 재생의료 치료가 국가별 규제 체계에...

한국 의료 프리미엄 상담회 | 11월 14일~15일 만나보세요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의료, 이제 당신을 위한 맞춤 상담 해보세요" 해외 거주 중 한국에서의 치료를 고민하고 계신가요? 4개 전문 의료기관이 함께하는 원스톱 무료 상담회가 열립니다. 🏥 상담...

강남제이에스병원–중앙대학교병원, 상호 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 치료 및 의료기술 발전 위한 협력 강화 강남제이에스병원–중앙대학교병원,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 치료 발전 위한 전략적 협약 체결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 치료 분야의 선도 의료기관인 **강남제이에스병원(대표원장 송준섭)**이...

“메디케어는 안 통해요”… 한국 체류 시민권자, 보험 대란

민간보험 5종 긴급 비교 분석 - "이중 가입이 답" 한국 의료관광 열풍 속 숨겨진 진실 최근 미국 의료비 급등으로 한국 의료관광을 고려하는 미국인들이 급증하고 있다....